Error (6) 썸네일형 리스트형 Error: Subquery returns more than 1 row Error: Subquery returns more than 1 row 로그를 보던 중 확인했던 에러 - 쿼리 구문에는 오류가 없지만, 서브쿼리에서 1개 이상의 값이 반환되는 것 에러 해결 : 서브쿼리에 limit 1 을 반환하여 서브쿼리를 강제로 1개로 만들어 버리거나, 조건을 좀 더 구체적으로 주어서 1개의 row만 반환이 되도록 해야 한다. 애시당초 id 1개 = review 1개 인 테이블인데 예전에 로직 테스트하면서 중복이 박혀있었던 것 같음 Error: ENOSPC: no space left on device, write 에러 Error: ENOSPC: no space left on device, write 에러 설명 1. EC2의 디스크 용량이 부족할 때 생기는 에러 2. 해당 프로덕트에 들어가 df -h로 용량확인 해결 방법 1. AWS EC2로 들어가서 볼륨탭으로 진입 2. 볼륨을 증가시켜야 되는 인스턴스 클릭 후 볼륨 수정 3. 수정 후 터미널로 해당 프로덕트 진입 4. df -h로 용량 확인 5. 볼륨에 확장해야 하는 파티션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lsblk 명령을 사용 6. 루트볼륨 nvme0n1에 파티션 nvme0n1p1이 있고 제 경우에는 8기가 →16기가로 변경이였음 7. 파티션의 볼륨 크기는 growpart 명령을 통해 확장할 수 있다. 맨 마지막 인자는 파티션 번호임 sudo growpart /dev/nvme0.. [git warning] The file will have its original line endings in your working directory [Error] The file will have its original line endings in your working directory git add . 실행했을때 나오는 경고 이런식으로 깃에서 경고가 나오는데 해당 경고를 보고 열심히 구글링으로 찾아본 결과 원인은 윈도우의 줄바꿈 문자와 리눅스의 줄바꿈 문자가 달라서 발생하는 경고메세지였다.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개행문제 또는 End of Line (EOL)을 Line Feed (LF)로 나타내고 윈도우 시스템은 Carriage Retuirn (CR) 그리고 Line Feed(LF) 합쳐 CRLF로 나타낸다. 깃의 명령들은 리눅스를 기반으로 처리하므로Line Feed(LF)을 코드로 처리하는데 윈도우에서 작업한 문서들의 CRLF문자를 LF문자로 변환.. Error [ERR_REQUIRE_ESM] GraphQL 공부를 하다가 nodemon을 실행시키니까 생겼던 에러 C:\Users\k\Desktop\GraphQL_api>npm run dev graphql_api@1.0.0 dev nodemon server.js C:\Users\k\Desktop\GraphQL_api\node_modules\nodemon\bin\nodemon.js:15 require('update-notifier')({ pkg }).notify(); ^ Error [ERR_REQUIRE_ESM]: require() of ES Module C:\Users\k\Desktop\GraphQL_api\node_modules\update-notifier\index.js from C:\Users\k\Desktop\GraphQL_api\node_.. Error: Invalid atomic update value for $set. Expected an object, received string Error: Invalid atomic update value for $set. Expected an object, received string 작업하는 기능 중 voiceAlbum 수정기능에서 생긴 에러 수정 작업을 Thunder Client로 확인하던 중 해당 에러가 계속해서 뜨길래 mongoose update를 검색해서 찾아봄 기존에 코드는 if (existVoiceAlbum) { await VoiceAlbum.updateOne( { _id: voiceAlbumId }, { $set: voiceAlbumName, voiceAlbumCover } ); } 이런방식으로 작성했었는데 공식문서를 확인해보니 $set 뒤에 {}한번 더 감싸줘야 하는 걸 발견 await VoiceAlbum.updateOne( .. MongooseError: Operation events.insertOne() buffering timed out after 10000ms MongooseError: Operation events.insertOne() buffering timed out after 10000ms 갑자기 MongoDB 연결관련해서 시간초과 에러가 계속해서 뜨는 현상이 발생했음. 해당 오류를 확인해보니 해결방법이 몇가지 있었는데 1. DB이름문제 2. MongoDB Atlas에 IP 주소를 등록하지 않았거나 모든 위치에서 액세스 허용을 안했을때 보통 이 2가지를 많이 해결방안으로 나와있었음 해결방안이나 구글링을통해 계속해서 확인해 보던 중 app.js 부분에 DB 연결이 되어있지 않아서 생겼던 에러였음.. 혹시모르니 나중에 같은 에러가 뜨면 확인해보자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