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 (2) 썸네일형 리스트형 JWT란 ? (JSON Web Token) JWT (JSON Web Token) JWT는 당자자 간에 JSON 객체로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개방형 표준이다. JWT는 API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틀르 인증 및 식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서 보통 RESTful API에서 사용한다. JWT의 구성요소 JWT는 헤더(header), 페이로드(payload), 서명(signature) 세 파트로 나눠져 있다 헤더 (Header) 어떠한 알고리즘으로 암호화 할 것인지, 어떠한 토큰을 사용할 것 인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정보 (Payload) 전달하려는 정보(사용자 id나 다른 데이터들, 이것들을 클레임이라고 부른다)가 들어있다. payload에 있는 내용은 수정이 가능하여 더 많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노출과 수정이 가능한 지점이기 .. 블로킹/논블로킹 , 동기/비동기 이해하기 CS 기술면접을 준비하다 정확하게 알고가야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서 글로 적어놓음 블로킹 / 논블로킹, 동기 / 비동기 ?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봤을때, I/O방식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기본 개념을 정리하고 가자면 Blocking 자신의 작업을 진행하다가 다른 주체의 작업이 시작되면 다른 작업이 끝날 떄까지 기다렸다가 자신의 작업을 시작한다 Non-blocking 다른 주체의 작업에 관련 없이 자신의 작업을 한다. Synchronous 요청이 들어온 순서에 맞게 하나씩 처리한다. Asynchronous 하나의 요청이 끈나기도 전에, 다른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Synchronous와 Blocking은 무언가를 기다리게하고, Asynchronous와 Nonblocking은 기다리지 않고 바로 .. 이전 1 다음